본문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운영 노하우

인스타그램 참여율이란? 참여율 제대로 이용하는 방법!!

by 퍼플 피그 2023. 11. 30.

목차

    인스타그램 채널을 운영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지표가 있다.

    바로 참여율이다.

    인스타그램에 무작정 아무 콘텐츠나 올리진 않을 것이다.

    사람들에게 이득이 가고 공유할만하고 좋아할 만한 콘텐츠를 올릴 것이다.

    즉, 좋아요, 댓글, 공유, 등 팔로워들의 참여가 많은 콘텐츠를 주로 올린다는 말이다.

    이때, 팔로워들이 얼마나 해당 콘텐츠에 참여를 했는지 알 수 있는지 표가 바로 참여율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참여율이 정확이 무엇이고 어떻게 계산하며 이를 어떻게 높일 수 있는지 알아보자.


    인스타그램 참여율

    참여율은 해당 콘텐츠에 노출된 (비) 팔로워들이 얼마나 상호작용(좋아요, 댓글, 공유, 등) 했는지 나타내는 비율이다.

    참여율은 좋아요 수, 댓글 수, 저장을 이용해서 계산한다.
    종종 노출 수나 공유 수, 팔로워 수도 계산에 들어간다.


    왜 인스타그램은 참여율이 중요할까요?

    참여율이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단순히 해당 콘텐츠가 노출이 많이 됐다고 좋은 게 아니라 얼마나 (비) 팔로워들과 상호작용 했는지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노출은 많이 됐는데 좋아요, 댓글, 저장 수가 낮은 경우엔? 즉 참여율이 낮으면?

    그 콘텐츠는 사람들이 좋아하는 콘텐츠가 당연히 아니다.

    반대로 노출은 적은데 참여율이 좋다?

    그러면 해당 콘텐츠를 계속 만들어도 된다는 결론이 나온다.

    즉, 참여율은 내 콘텐츠의 점수가 몇 점인지 알려주는 중요한 지표다.

    따라서 참여율을 확인하면서 콘텐츠를 제작할 때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다.

     

     

    인스타그램 참여율 계산하는 방법

    참여율을 계산하는 방법은 채널 방향성, 목적, 목표에 따라 다르다.

    참여율을 계산할 때 고려하는 지표는 다음과 같다.

    - 좋아요 수
    - 댓글 수
    - 저장 수
    - 공유 수
    - 팔로워 수
    - DM 받은 횟수
    - 노출 수
    - 링크 클릭 수
    - 스토리 조회수
    - 스토리 답장수
    - 언급 및 태그 수

    채널 특성에 맞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지표를 넣어서 계산하면 좋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좋아요, 댓글, 저장, 공유, 노출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참여율 계산법을 소개한다.

    계산법에 앞서 우선 필자가 운영하는 계정(@simglekorea)의 게시물 인사이트를 확인해 보자.

    인스타그램 인사이트

    위 게시물에서 나온 인사이트를 통해 참여율을 계산해 보자.

     

    인스타그램 참여율 계산법(도달 수 기반)

    이 공식을 통해 도달수에 기반하여 해당 콘텐츠 또는 채널이 얼마나 호응을 받는지 알 수 있다.

    2가지 공식이 있다.

    첫 번째 공식은 각 게시물 별 참여율을 계산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 공식은 채널 전체 참여율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인스타그램 참여율 공식 1 = (좋아요 수 + 댓글 수 + 저장 수) / 도달수 X 100
    (정보성 콘텐츠가 아니면 저장 수는 빼고 분자에 좋아요와 댓글만 넣으면 된다.)

     

    도달 수 기반 참여율 공식



    공식 2 = 공식 1 / 계정 전체 게시물 수 

    이 공식이 좋은 이유는 팔로워 수 기반으로 참여율을 계산하는 게 아니라 도달 수 기반으로 계산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모든 팔로워가 해당 게시물을 보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해당 게시물을 본 팔로워 또는 비팔로워만 고려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더 올라간다.

    노출 = 해당 게시물이 인스타그램 사용자에게 노출된 횟수. 중복으로 봐도 집계됨.
    도달 = 해당 게시물을 한 번 이상 본 고유 계정 수.

     

    예를 들어, 필자 게시물의 참여율을 계산해 보면 다음과 같다.

    [2,096(좋아요) + 39(댓글) + 175(저장)] / 181,250 X 100 = 1.27%

    따라서, 참여율은 1.27%가 나온다.

     

    두 번째 공식으로 나오는 참여율을 구하기엔 게시물이 너무 많아서 생략.

     

     

    인스타그램 참여율 계산법(팔로워 기반)

    위에서 언급했듯이 팔로워 기반의 참여율은 신뢰도가 높진 않다.

    왜냐하면 알고리즘이 해당 계정의 모든 팔로워에게 콘텐츠를 보여주지 않기 때문이다.

    대신 이 공식은 계정의 전반적인 상태를 점검할 때 유용하다. 

    그 이유는 팔로워 중에 몇 명이 상호작용을 했는지 알려주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즉, 도달률에 기반한 참여율 계산법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참여율 공식 = (좋아요 수 + 댓글 수 + 저장 수) / 팔로워 수 X 100

    (마찬가지로 정보성 콘텐츠가 아니면 저장 수는 안 넣어도 좋다.)

    예를 들어, 필자의 게시물의 이 방법으로 참여율을 계산해 보면 다음과 같다.

    [2,096(좋아요) + 39(댓글) + 175(저장)] / 10,000 X 100 = 23.1%
    (해당 게시물을 올리고 2주 정도 지났을 땐 약 1만 명의 팔로워가 있었다.
    23.1%는 알고리즘이 한 번 엄청 밀어줄 때 이렇게 나오고 보통 5% 밑으로 나온다.)

     

    인스타그램 참여율 계산법(노출 수 기반)

    이 공식은 인스타그램 광고 성과를 측정하는데 좋다.

    보통 광고 성과는 광고가 타겟층에게 노출이 얼마나 됐고

    노출된 타겟층이 얼마나 상호작용을 했는 지를 통해 평가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참여율은 얼마나 나와야 하나요?

    "좋은 참여율"은 없다.

    왜냐하면 계정 특성, 나라, 언어, 등에 따라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다만, 통계적으로는 1% ~ 5%가 좋다고 한다.

    이보다는 본인 계정이 속한 카테고리에서 다른 계정의 참여율을 계산해서
    비교해 보는 걸 추천한다.

    Later에 따르면, 44만 개의 계정을 분석한 결과

    Carousels(2개 이상의 사진 또는 동영상이 올라간 게시물)의 평균 참여율은 3.11%
    1개 이미지만 올라간 게시물의 평균 참여율은 2.76%
    1개 영상만 올라간 게시물의 평균 참여율은 2.60%